굿모닝경찰소방미션저널

기사


  • 경찰 「불법 리베이트 및 공직자 부패비리 특별단속」 결과, 총 2,617명 단속 1,394명 송치(구속 42)

    분야: 경제/사회|기자: 이승훈|승인: 2025-04-09 오후 5:51:44

    경찰 「불법 리베이트 및 공직자 부패비리 특별단속」 결과, 총 2,617명 단속 1,394명 송치(구속 42) 특별단속 결과 분석 및 단속체제 정비 후 하반기 중 부패비리 단속 추진 예정

    경찰청(국가수사본부)은 민간공공분야에서 공정한 시장경쟁 질서를 왜곡시키는 각종 불법 리베이트와, 금품수수정보유출 및 브로커 이권개입 등 공직 사회에 대한 국민 신뢰를 저버리는 공직자 부패비리를 근절하기 위해 불법 리베이트 및 공직자 부패비리 근절을 경찰청 주요정책과제로 내걸고, 202492일부터 2025331일까지 특별단속을 추진한 결과 총 2,617명을 단속하여 1,394명을 송치하고 혐의가 중한 42명을 구속했다.


    중점 단속 대상

    불법 리베이트의료의약 건설산업 경제금융 공공분야 불법 리베이트

    부패비리 금품수수 권한 남용 정보유출 재정 비리 부정 알선청탁


    분야별 단속 인원 및 송치 인원 현황은 불법 리베이트 사범 1,050명 단속682명 송치(구속 16) 공직자 부패비리 사범 1,567명 단속712명 송치(구속 26), 단속 인원 대비 송치 인원 비율은 각 64.95%, 45.43%로 나타났다.


    분야()

    총계

    송치

    불송치불입건

    진행중

    기타

    소계

    구속

    불구속

    소계

    불송치

    불입건

    소계

    수사중

    조사중

    불법 리베이트

    1,050

    682

    16

    666

    56

    43

    13

    311

    277

    34

    1

    공직자 부패비리

    1,567

    712

    26

    686

    250

    210

    40

    595

    429

    166

    10


    분야별 상세 단속 인원 현황을 살펴보면 불법 리베이트 분야는 의료의약 분야 597(구속5) 건설산업 분야 292(구속4) 관급거래 등 공공분야 83경제금융 분야 78(구속7) 순이며, 공직자 부패비리 분야는 금품수수 526(구속15) 재정비리 445(구속2) 권한 남용 401(구속1) 불법 알선 청탁 120(구속8) 정보유출 75명 순으로 확인됐다.


    불법 리베이트 단속 현황(1,050명).jpg

    불법 리베이트 단속 현황(1,050)


    공직자 부패비리 단속 현황(1,567명).jpg

    공직자 부패비리 단속 현황(1,567)



    불법 리베이트 상세 검거 현황

    분야()

    총계

    송치

    종결

    진행중

    기타

    소계

    구속

    불구속

    소계

    불송치

    불입건

    소계

    수사중

    조사중

    총계

    1,050

    682

    16

    666

    56

    43

    13

    311

    277

    34

    1

    의료의약

    597

    405

    5

    400

    45

    34

    11

    146

    133

    13

    1

    건설산업

    292

    208

    4

    204

    6

    6

    0

    78

    64

    14

    0

    공공분야

    83

    37

    0

    37

    5

    3

    2

    41

    34

    7

    0

    경제금융

    78

    32

    7

    25

    0

    0

    0

    46

    46

    0

    0


    공직자 부패비리 상세 검거 현황

    분야()

    총계

    송치

    종결

    진행중

    기타

    소계

    구속

    불구속

    소계

    불송치

    불입건

    소계

    수사중

    조사중

    총계

    1,567

    712

    26

    686

    250

    210

    40

    595

    429

    166

    10

    금품수수

    526

    232

    15

    217

    87

    73

    14

    206

    172

    34

    1

    재정비리

    445

    246

    2

    244

    24

    22

    2

    174

    68

    106

    1

    권한남용

    401

    141

    1

    140

    113

    97

    16

    139

    115

    24

    8

    알선청탁

    120

    64

    8

    56

    10

    4

    6

    46

    46

    0

    0

    정보유출

    75

    29

    0

    29

    16

    14

    2

    30

    28

    2

    0

    한편, 특별단속 기간 중의 중요 불법 리베이트공직자 부패비리사건에 대해서는 시도경찰청 중심 수사체계를 구축, 전체 단속 인원의 56.9%(1,489/2,617) 도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등 수사부서에서 수사했다.


    구분

    총계

    도청 직접수사부서

    경찰서 수사팀

    소계

    불법리베이트

    부패비리

    소계

    불법리베이트

    부패비리

    579

    278(48%)

    42

    236

    298(52%)

    86

    212

    2,617

    1,489(56.9%)

    575

    914

    1,128(43.1%)

    475

    653


    특별단속이 종료된 이후에도 관련 비리가 언제든 재발할 우려가 존재하는 만큼 경찰은 앞으로도 공직자 부패비리 등에 대한 상시단속 체제를 지속 유지할 예정이며, 특별단속 기간 중 종결하지 못한 사건(906)에 대해서도 엄정한 수사를 이어 나가는 한편, 개별 사건에 대한 대국민 홍보도 강화할 예정이다.


    국가수사본부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역시 시도경찰청 직접수사부서 중심으로 부패비리 단속을 강도 높게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경찰의 강도 높은 단속뿐만 아니라 국민의 적극적인 신고와 제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112나 가까운 경찰관서로 적극적으로 제보해달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굿모닝경찰소방미션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헤븐 스피치(Heaven Speech) 저자 전아

    • 손끝 저림, 물건 잡을 힘도 없어...

    • 김동연, 캐서린 레이퍼 주한 호주대사와 미래혁신산업 협력 방안 논의

    • ‘한파특보가 발령되면 화재가 증가할까?’

    •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협조” 요청

    • “경기도, ‘다음 소희’ 나오지 않도록 최선 다해 민생 돌봐야”

    • 경기도지사, 도청 방문한 존 위팅데일 영국 무역특사와 환담

    • 척추관협착증 오래가면 허리 구부정하게 굳는다

  • 최신 트렌드 정보
    “농업이 치료가 되다” 치유농업, 정신의료기관 실증으로 효과 입증
    장애와 예술, 전통과 현재가 맞닿는 순간

    굿모닝경찰소방미션저널 굿모닝경찰소방미션저널

    장애와 예술, 전통과 현재가 맞닿는 순간
    수리 마친 종묘, 휴대전화 활용한 음성 해설 서비스 시작
    경찰 「불법 리베이트 및 공직자 부패비리 특별단속」 결과, 총 2,617명 단속 1,394명 송치(구속 42)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실전 경험으로 안전 지킨다
    인기 기사